천문학의 역사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은하계의 구조 : 천문학적 관점에서의 은하 동역학 은하(銀河)의 영어식 표기는 누구나 쉽게 접해 들어본 galaxy로 표기합니다. 이 은하는 밀집성, 성간 물질, 항성 암흑 물질 등이 중력에 의해 묶여서 이루는 거대한 천체들의 집합체입니다. 은하 안에는 수많은 항성계, 성단, 성간운들이 있으며, 이 사이의 공간은 가스, 먼지, 우주선(cosmic-ray)들로 이루어진 성간물질들로 채워져 있습니다. 은하를 뜻하는 용어 갤럭시(galaxy)는 은하수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 "갈락시아스"(γαλαξίας)에서 유래했습니다. 은하들은 작은 것들은 1천만 개 이하의 항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큰 것들은 100조여 개의 항성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항성들은 모두 은하의 질량중심 주위를 공전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태양도 지구를 비롯한 태양계 천체.. 우주의 확장 : 빅뱅 이후의 우주 대폭발이라고도 불리는 빅뱅 사건은 고밀도 및 온도의 초기 상태에서 어떻게 우주가 팽창했는지 설명하는 물리 이론입니다. 대폭발의 다양한 우주론적 모형은 관측 가능한 우주의 초기 알려진 기간부터 이후의 대규모 형태까지의 진화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모형은 풍부한 광 원소,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 및 거대구조를 포함하여 관찰된 광범위한 현상에 대한 포괄적인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949년 영국인 천문학자인 프레드 포일은 BBC 라디오 방송에서 진행한 대담에서 최초로 빅뱅(대폭발)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습니다. 방송에서 그는 "이 이론들은 우주의 모든 물질들이 먼 과거의 특정 시기에 하나의 대폭발로 생성되었다는 가설에 기초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1970년대까지는 학자들 간의 이견차로 .. 블랙홀의 신비: 기원부터 현대 천문학 까지 의 역사 블랙홀은 영어로 black hole이라 표기하고, 한자어로는 黑洞라 부릅니다. 블랙홀은 중성자 별이 되지 못한 항성이 진화의 최종단계에서 폭발 후 수축되어 생성된 것으로 추측되는, 강력한 밀도와 중력으로 전자기 복사, 빛을 포함한 그 무엇도 빠져나올 수 없는 시공간 영역입니다. 존 미첼이 1783년 왕립학회의 헨리 캐번디시에게 쓴 서한에서 블랙홀에 대한 개념이 처음 발견 되었습니다. 그는 질량이 너무 커서 빛조차 탈출할 수 없는 존재가 발견되었다고 설명하면서, 만약 태양과 같은 밀도를 가진 어떤 구체의 반지름이 태양의 500분의 1로 줄어든다면, 무한한 높이에서 그 구체로 낙하하는 물체는 표면에서 빛의 속도보다 빠른 속도를 얻게 될 것이라고 정의 내렸습니다. 그는 그로 인하여 빛이 다른 물체들과 마찬가지.. 이전 1 다음